엘리스(Ellis)의 인지 정서 행동 심리 상담 이론
1. 인지 정서 행동 심리 상담이란?
2. 인간에 대한 기본 가정 (인간관)
3. REBT의 상담 원리
- 상담자의 적극적이며 지시적인 위치를 강조한다.
- 자유연상, 꿈 분석, 전이관계 해석과 같은 역동 지향적 설명을 거의 하지 않는다.
- 상담자는 능동적 - 지시적 - 철학적 방법론을 사용하는데 흔히 매우 빠르게 진행한다.
- 우리는 주의의 모든 사람들로부터 항상 사랑과 인정을 받아야만 한다.
- 우리는 모든 면에서 반드시 유능하고 성취적이어야 한다.
- 우리는 타인에게 의존해야 하고, 자신이 의존할 만한 더 가한 누군가가 있어야 한다.
- 모든 문제에는 가장 적절하고도 완벽한 해결책이 반드시 있기 마련이며 그것을 찾지 못한다면 그 결과는 파멸이다.
- 세상은 반드시 공펴해야 하며, 정의는 반드시 승리해야 한다.
4. 비합리적 신념의 뿌리인 당위성
5. 상담의 목표
6. ABC 모형
상담 진행 과정은 일반적으로 ABCDE 모형으로 알려져 있다.
결과(C)는 선행사건(A)가 아니라 개인이 가지고 있는 신념(B)에 의해 유발된다고 보았다. 특히, 부정적인 결과를 유발하는 비합리적인 신념을 논박(D)하여 합리적인 대처 신념으로 바뀌게 되면 결과가 달라진다고 본다.
① A (선행사건, Activation Event) : 집에서 싸웠거나,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무시 했거나, 부부 싸움 같은 일반적으로 어떤 감정의 동요나 행동에 영향을 끼치는 사건을 의미한다.
② B (신념, Belief System) : 선행 사건에 대한 내담자의 신념 체계나 사고 체계를 의미한다. 합리적일 수도 비합리적일 수도 있다.
③ C (결과, Consequence) : 선행 사건을 경험한 후 자신의 신념 체계를 통해 그 사건을 해석함으로써 느끼게 되는 정서적, 행동적 결과를 말한다.
④ D (논박, Dispute) : 내담자가 가지고 있는 비합리적인 신념이나 사고에 대해서 그 사상이 사리에 맞는 것인지 논리성, 실용성, 현실성에 비추어 반박하는 것으로, 내담자의 비합리적인 신념을 수정하기 위한 방법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다.
⑤ E (효과, Effect) : 논박으로 인해 나타난 효과로서, 내담자가 가진 비합리적인 신념을 철저하게 논박함으로써 합리적인 신념으로 대치된다.
⑥ F (새로운 감정, Feeling) : 효과 때문에 바뀐 합리적 신념에서 비롯된 새로운 긍정적 감정을 나타낸다.
7. 평가
- 인지 구조를 바꾸는 것과 관계되기 때문에 자신의 합리적 생각에 대해 철저한 분석을 통한 논박을 할 수 없을 정도로 지적 수준이 낮은 내담자, 현실감이 거의 없는 내담자, 나이가 많아 생각이 아주 경직된 내담자, 철학적 편견을 가진 내담자에게는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 REBT는 매우 설득적이고 지시적인 방법이기 때문에 상담자가 자신의 인생 철학을 단순히 내담자에게 강요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이라고 생각한다.
- 과거 경험을 경시한다는 것이다. REBT는 과거 사실에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과연 개인의 과거 경험이 그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상담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펄스의 게슈탈드 상담(형태주의 상담)이란 무엇인가 (1) | 2020.07.16 |
---|---|
벡(Beck)의 인지치료란 무엇인가 (0) | 2020.07.15 |
칼 로저스 (Carl Rogers)의 인간 중심 심리치료 이론이란 무엇인가 (0) | 2020.07.14 |
행동주의 상담 이론이란 무엇인가 (0) | 2020.07.13 |
아들러(Adler)의 개인주의 상담 이론이란 무엇인가 (0) | 2020.07.12 |